물때표 보는 법
▲물때는 지구와 달의 관계에 있으며 음력을 기준으로 한다
▲음력 물 흐름도
▲음력 물때표
물때 용어
- 만조: 물이 들어와서 가득 찼을 때를 말합니다
- 간조: 물이 빠져 나가서 더이상 빠질물이 없을 때를 말합니다.
- 밀물: 들어오는 물을 말하며 들물 이라고도 합니다.
- 썰물: 빠져 나가는 물을 말하며 날물 이라고도 합니다.
- 조류: 물의 흐름을 말하며 유속이라고도 합니다.
- 사리: 만조와 간조의 수위 차이가 크며 조류의 흐름이 매우 빠른 시기를 말합니다.
- 조금: 만조와 간조의 수위 차이가 적으며 조류의 흐름이 매우 약해진 시기를 말합니다.
- 무시: 조금의 다음날이며 조금의 물때와 비슷하게 조류흐름이 약한 시기를 말합니다.
- 해루질: 물이 빠진 간조때 야간에 갯벌이나 해변가에서 불을 빛추어 어패류를 잡거나 낚시를 하는 것
만조와 간조 시에는 물의 흐름이 거의없고
만조에서 물이 빠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초날물,중날물,끝날물로 구분하며
간조에서 물이 들어오는 시점을 기준으로 초들물, 중들물,끝들물로 구분하고
만조에서 간조, 간조에서 만조로 물이 흐르는 이 때는 물의 흐름이 발생한다
간조에서 만조 혹은 만조에서 간조까지는 대략 6 시간이 걸리며
간조에서 만조를 지나 다시 간조가 되기까지는 12 시간이 걸리고 하루 두 번 진행된다
일반적으로 바다낚시에서는 물이 들어와 수심이 깊어지는 만조때 조과가 좋다고 하는데
만조까지 물이 드는 동안 뭍에 가까운 곳까지 고기들이 들어 와서 움직이기 때문이다.
초날물에 또한 조과가 좋다고 하는데 초날물에서는 고기들이 조류를 따라 이동할 준비를 하기 때문에
고기들의 활동이 활발해 지기 때문이다